먹으로 사람 역시 그리기 힘든대상이다.

많은 과정을 거쳤다. 처음단계는 해부학 스캐치이다. 해부학적으로 맞지않으면 실제감이 떨어진다. 연구를 틈틈히 하였다.

두번째는 흙으로 사람을 표현하는 단계를 거쳐다, 많은 도움이 되는것 같다 . 흙으로 사람을 표현하는것은 너무 자연스러운

단계인것 같았다. 물론 많은 시간을 필요한것 같다.

 

작가 작업 노트(2017.9월..)

 

수묵화에서 인물은 먹으로 표현 할 때 많은 제약이 따른 소재이다. 작업 중 먹의 수정이 불가능하고, 인물묘사에서 사실적 표현으로서 재료의 한계, 전통 기법적 한계 등을 고민한 결과 지금까지 작업의 경험을 토대로 새로운 인물 묘사의 기법을 찾게 되었다. 재료는 먹으로 하되, 붓의 특징을 살린 터치로 인간의 내면적 심리묘사에 충분한 가능성을 찾았고, 새로운 작업과정을 얻는 결과물을 마주하게 되었다.

 

대상물을 끊임없이 탐구하고, 바라보고, 내면적 이야기를 찾고, 어떻게 이야기를 풀어 갈 것인가를 며칠 동안 고민하고 그 내재적 사유가 마무리되면 작가는 작업에 들어간다. 작가는 다른 작가들과 달리 스케치를 하지 않고 바로 작업으로 들어가는 것이 특징이다, 스케치를 하고 작업에 들어가면 정확성이 뛰어 나겠지만 그것보다도 의도되지 않은 순간순간 형태선은 감정이 녹아있고, 의도하지 않은 아름다움을 만들어 내기에 그것을 무겁게 작가는 받아들인다. 다소 어긋남이 있을 수 있지만 선의 한 획, 붓질 한 번의 감정적 노동이 나름 이유가 있음을 신뢰하기 때문이다.

인물 작업을 선택하게된 것은 한국화에서 수묵으로 인물을 사실적 표현한 작품을 찾아보기 힘들다.

이것은 오래전부터 지적되어온 작가의 능력적 한계, 재료적 한계 등 때문이다. 하지만 먹이라는 무궁한 재료적 매력을 포기하기에는 아쉬움이 크기에 끊임없이 실험을 작품에 적용시켰고, 어느 정도 만족스러운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작업의 진행을 살펴보면 화면에서 선을 긋기 전에 대상물과 계속적 관찰, 심리적 이야기 등 주요한 사안을 기억하면서 큰 풍경을 만들 듯이 작업을 진행한다. 사람의 모습에서 인간을 찾을 수 있지만 결국 사람도 자연의 한부분이기에 사람의 어둡고 밝은 부분이 거대한 자연의 음영과 같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사람에게서 자연의 모습을 찾는다는 것은 작가에게서 중요한 모티브면서 중요한 작업의 방향 설정이기도 하다.

먹 작업의 중첩성의 중요함을 알기에 인물의 얼굴표현에서 계속되는 붓 터치와 과감한 선의 선택, 또한 인물 속 나타나는 굴곡의 흐름을 찾고 그대로 붓질이 나가는 호쾌함을 추구하기도 하였다. 결국 실제적 느낌을 찾고자 그림자의 흐름, 볼륨감, 입체적 질감 등 마치 먹으로 흙을 빚어서 만드는 느낌이 표현되도록 작가는 사람을 깎아 내듯 작업을 시도 하였다. 그럼으로써 작품이 평면적 화면의 한계 탈피, 또는 내면적 모습을 나타내는 조형적인 모습으로 결과물이 이루어 질 것으로 기대하게 되었다.

 

 

 

 

 

 

 

+ Recent posts